작성일 : 17-05-08 11:57
1인가구 청년 절반 이상이 과음, 수면시간 비정상
조회 : 10,494
 글쓴이 : 근로자건강센터
 전화번호 : 031-364-7680
 이메일 : gswhc2011@hanmail.net
 
 
<iframe width="120" height="600" src="http://ads.acrosspf.com/adinfo.ad?slot=20856&passback=&host=news.heraldcorp.com&m=pc&r=56037733130" frameborder="0" marginwidth="0" marginheight="0" scrolling="no" style="width: 120px !important;" allowtransparency="true"></iframe>
<iframe width="0" height="0" title="광고" src="http://www.dreamsearch.or.kr/servlet/iadbn?from=http%3A//search.naver.com/search.naver%3Fie%3Dutf8%26where%3Dnews%26query%3D%25EC%25A0%2588%25EC%25A3%25BC%26sm%3Dtab_pge%26sort%3D0%26photo%3D0%26field%3D0%26reporter_article%3D%26pd%3D0%26ds%3D%26de%3D%26docid%3D%26nso%3Dso%3Ar%2Cp%3Aall%2Ca%3Aall%26mynews%3D0%26cluster_rank%3D16%26start%3D11%26refresh_start%3D0%26url%3Dhttp%253A%252F%252Fnews.heraldcorp.com%252Fview.php%253Fud%253D20170505000002%26ucs%3DdaSJOqltvHUg&u=2015093000010&us=5074&s=5788&psb=99" frameborder="0" scrolling="no"></iframe>
  • 1인가구 청년 절반 이상이 과음, 수면시간 비정상

           기사입력 2017-05-06 00:04 |김대우 기자

[헤럴드경제=김대우 기자]1인가구로 생활하는 청년의 절반 이상이 과음을 하고, 수면시간도 비정상인 것으로 나타났다. 

성균관대 소비자가족학과 이성림 교수팀은 2013∼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20세 이상 성인 남녀 5215명(1인가구 488명, 다인가구 4727명)의 가구 형태별 음주ㆍ흡연 비율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6일 밝혔다. 

연구결과에 따르면 1인가구로 지내는 청년(20~30대)의 절반 가까이(48.1%)가 흡연을 하고 비흡연과 금연의 비율은 각각 36.4%ㆍ15.6%였다. 이는 다인가구에 속한 청년이 비흡연(61.9%)ㆍ흡연(24.7%)ㆍ금연(13.5%) 순서인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. 

1인가구로 사는 40~50대 중년의 흡연비율(33.3%)은 다인가구에 속한 중년의 흡연비율(19.8%)보다 1.7배가량 높았다. 

1인가구로 생활하는 청년의 과음 비율은 전체의 절반을 넘었지만(57.1%) 다인가구에 속한 청년의 과음 비율은 47.7%로 절반에 못미쳤다. 1인가구로 지내는 중년은 과음 비율(39.9%)이 절주ㆍ금주 비율보다 높았지만 다인가구에 속한 중년에선 절주 비율이 36.9%로 가장 높았다. 과음의 기준은 남성이 평소 5~6잔 이상의 음주를 주 2~3회 이상 하거나 여성이 평소 3~4잔 이상의 음주를 주 2~3회 이상 하는 것으로 했다. 

또한, 1인가구로 사는 청년은 수면시간의 비정상 비율(51.9%)이 절반 이상이었지만 다인가구에 속한 청년은 수면시간의 정상 비율(54.1%)이 더 많았다. 1인가구로 사는 중년과 노년은 수면시간의 비정상 비율이 각각 61.6%ㆍ71%에 달해 다인가구보다 높았다. 

연구팀은 수면시간이 하루 7시간 이상∼8시간 이하이면 ‘정상’, 수면시간이 이보다 짧거나 길면 ‘비정상’으로 분류했다. 

연구팀은 논문에서 “1인가구로 생활하는 사람은 다인가구에 속한 비슷한 연령대에 비해 건강관리에 소홀한 편이고 전반적으로 신체활동 수준도 낮았다”고 지적했다.

dewkim@heraldcorp.com

출처 :  헤럴드경제

이름 패스워드 비밀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