잘 쓰면 약! 못 쓰면 독!
오늘은 의약품 안전사용을 위한 주의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약은 무조건 해롭지도, 무조건 이롭지도 않은 양면성을 지니고 있습니다.
약을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약에서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, 약을 잘못 사용한다면 약은 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
따라서 질환에 맞게, 정해진 용량·용법으로 필요한 기간만큼 약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예를 들어 고혈압을 진단받았는데 증상이 없다고 해서 처방받은 혈압약을 복용하지 않는다면 갑자기 고혈압으로 인한 뇌졸중 등 합병증으로 더 큰 병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.
또, 항생제의 경우 일주일분을 처방받으셨는데도 약을 많이 먹으면 무조건 해로운 줄 알거나, 증상이 좋아졌다고 도중에 안 드시게 되는 경우, 증상이 악화되거나 또는 항생제 내성을 키우게 되어 나중에 항생제를 사용하시게 될 때 예전에 효과가 있었던 항생제가 효과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.
약의 종류
약은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. 그 중에서 약을 선택하고 구입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한 것이 '전문의약품'과 '일반의약품'입니다.
2012년 이후로 일반의약품 중 가벼운 증상에 환자가 시급하게 스스로 판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의약품은 '안전상비의약품'으로 구분되었습니다. 안전상비의약품은 24시간 운영 편의점에서 해열진통제, 감기약, 소화제, 파스 등 13개 품목이 판매되고 있습니다.
전문의약품
전문의약품이란 의사·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처방전이 있어야만 구입이 가능한 약을 말합니다.
따라서 전문의약품은 소비자가 직접 구입할 수 없으며, 반드시 처방전에 따라 약국에서 구입해야 합니다.
일반의약품
일반의약품이란 처방전이 없이 환자나 소비자가 직접 구입할 수 있는 약을 말합니다.
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된 약은 환자나 소비자가 본인의 판단과 약사의 조언에 따라 약국에서 직접 구입하게 되므로 대부분 가벼운 증상에 사용하는 안전한 약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.
일반의약품에 대한 광고는 허용되므로, 우리가 광고를 통해서 접하게 되는 약들은 일반의약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
<출처 건강보험관리공단>